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오답노트
- 데이터프레임
- DX컨설턴트
- 판다스
- 짧은생각
- 자기개발
- 딥러닝
- 교육
- deeplearning
- 넘파이
- 데이터분석가
- 데이터
- 인프라
- KT에이블스쿨5기
- 정보화
- 데이터분석기초
- 파이썬기초
- 아키텍처
- MachineLearning
- 프로젝트
- 미니프로젝트
- 파이썬
- 머신러닝
- 데이터다듬기
- 데이터다루기
- 데이터분석
- 구조
- KT에이블스쿨
- IT인프라
- It
- Today
- Total
꾸준히 성장하기
#1. IT 인프라 공부 시작 본문
문과생이었다가 갑자기 IT 인프라 부서로 발령을 받게 되었다.
IT에 관심이 많아서 공부를 하긴 했지만 실제 업무에 투입되기엔 아주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하지만 현실에 빠르게 적응하기 위해선 방법을 찾아야하니,
오늘부터 시간이 될 때마다 IT 인프라를 차근차근 공부하고 기록해나가보려고 한다.
(중간에 포스팅이 뜸하면... 업무에 치여서 살고 있다고 생각해주길 바란다....😥)
1. IT란?
IT는 Information Technology의 약자로 정보 기술이라는 뜻한다.
여기서 말하는 정보는 우리가 매일 접하는 데이터, 그리고 기술은 그 데이터를 다루고 활용하는 도구와 방법을 말한다.
컴퓨터, 인터넷, 스마트폰 등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전자 기기를 통해 정보를 관리하고 처리하는 기술을 통틀어 IT라고 한다.
2. 인프라란?
인프라는 좀 더 쉽게 풀면 기반이라고 볼 수 있다.
IT가 제대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서버, 네트워크, 데이터 센터 같은 기반이 필요하다.
그러니까 IT 인프라는 IT 기술이 작동할 수 있도록 바탕을 만들어 주는 모든 것들을 말한다.
3. 아키텍처란?
이건 말 그대로 구조를 뜻한다.
집을 지을 때 뼈대와 구조가 있듯이, IT 인프라도 여러 시스템이 어떻게 연결되고 작동하는지에 대한 구조가 존재한다.
IT 시스템의 설계도 같은 것이다. 이 설계도가 잘 짜여져야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돌아갈 수 있다.
오늘은 IT, 인프라, 아키텍처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대충 알았던 개념을 한번 공부해보니 어느정도 머리 속에서 내용이 정립되는 거 같다.
앞으로 차근차근 용어 정리들을 해나가려고 한다.
'IT 일상 > 회사에서 살아남기(IT인프라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D+6 | 수직 분할형 아키텍처 - 웹 소켓 (8) | 2024.09.14 |
---|---|
D+5 | 수직 분할형 아키텍처 - 클라이언트 측 업데이트 (0) | 2024.09.13 |
D+4 | 수직 분할형 아키텍처 (0) | 2024.09.12 |
D+3 | 물리적인 서버와 논리적인 서버 (0) | 2024.09.11 |
#2. 집약형 아키텍처와 분할형 아키텍처 (4) | 2024.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