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교육
- KT에이블스쿨
- KT에이블스쿨5기
- 넘파이
- 오답노트
- 정보화
- IT인프라
- 데이터분석가
- 딥러닝
- 판다스
- DX컨설턴트
- 인프라
- 파이썬
- 데이터분석
- deeplearning
- It
- 미니프로젝트
- 구조
- 머신러닝
- 자기개발
- 데이터
- 데이터분석기초
- MachineLearning
- 프로젝트
- 데이터다루기
- 데이터다듬기
- 아키텍처
- 파이썬기초
- 데이터프레임
- 짧은생각
- Today
- Total
목록정보화 (11)
꾸준히 성장하기

이번에는 I/O 장치 중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1. I/O란? – Input과 Output우선, I/O는 Input(입력)과 Output(출력)의 약자예요. 쉽게 말해, 컴퓨터가 외부와 주고받는 모든 데이터의 통로를 뜻하죠. 예를 들어, 우리가 키보드로 타이핑하면 입력(Input)이 되는 거고, 화면에 글자가 나타나는 건 출력(Output)이에요. 그래서 I/O 장치는 컴퓨터와 우리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HDD란? – 컴퓨터의 서랍장!이제 본격적으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에 대해 알아볼까요? HDD는 컴퓨터의 큰 서랍장 같은 역할을 해요. 우리가 문서, 사진, 동영상 같은 파일을 저장하면,..

이번에 우리가 다룰 주제는 바로 CPU! 컴퓨터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죠. 1. CPU란? – 컴퓨터의 뇌!CPU는 Central Processing Unit의 줄임말로, 컴퓨터의 '뇌' 역할을 하는 부품이에요.사람에게 뇌가 있듯 컴퓨터와 서버에는 이 CPU가 중심에 자리 잡고 있어요.모든 계산, 명령 실행, 그리고 처리 결과를 뱉어내는 모든 과정이 이 작은 칩에서 이루어지죠.말 그대로 컴퓨터가 할 일을 결정하고, 계산하고, 결과를 내는 모든 일을 합니다. 2. 발열 문제그런데 이 CPU가 일을 열심히 하면 할수록 엄청난 열이 발생해요.뇌를 과하게 쓰면 머리가 뜨거워지듯, CPU도 수많은 연산을 처리하면서 열을 받아요.이 열이 너무 심해지면 CPU가 고장 날 수도 있어요!그래서 CPU 위..

오늘의 주제는 바로 SaaS, PaaS, IaaS! 오늘은 이 3가지 용어가 클라우드형 아키텍처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공부해볼거에요. 1. 클라우드 삼총사 SaaS, PaaS, IaaS란?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사실 SaaS, PaaS, IaaS라는 세 가지 형태로 나눠져 있어요. 이건 마치 집을 빌릴 때, 집을 통째로 빌리느냐, 일부만 빌리느냐, 아니면 땅만 빌리느냐의 차이로 이해할 수 있어요. 하나씩 차근차근 살펴볼까요? 1) SaaS (Software as a Service) – 소프트웨어를 서비스로!SaaS는 우리가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예요. 완성된 소프트웨어를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로 제공받는 거죠. 예를 들어 여러분이 쓰는 구글 드라이브, 넷플릭스, 마이크로소프..

오늘은 지리 분할형 아키텍처와 스탠바이형 아키텍처에 대해서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1. 아키텍처의 조합, 목적에 맞게일단 ‘아키텍처’라는 말, 이제 좀 익숙하죠? IT에서 아키텍처는 시스템을 설계하는 방법을 말해요. 그런데 재미있는 건, 아키텍처는 하나만 쓰는 게 아니라 상황에 맞게 여러 가지를 조합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마치 우리가 요리에 따라 다른 조리도구를 쓰는 것처럼 시스템도 필요에 따라 여러 아키텍처를 섞어 사용할 수 있죠.오늘 이야기할 건 그중 하나인 지리 분할형 아키텍처인데요. 이건 말 그대로 위치에 따라 시스템을 나누어 운영하는 방식이에요. 물리적으로 서버가 한 곳에만 있지 않고 여러 지역에 나눠져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왜 이렇게 나누느냐고요? 예를 들어, 어떤 문제로 한 지역의 서버가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