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준히 성장하기

[D+67] 짧은 생각 | 토론 주제: 국가 차원에서 중소기업에 DX 도입을 위한 방안 본문

KT 에이블스쿨 5기/짧은생각

[D+67] 짧은 생각 | 토론 주제: 국가 차원에서 중소기업에 DX 도입을 위한 방안

data.dohii 2024. 4. 27. 17:04

이번 주 공공 기관에서 진행된 면접에 참여했는데, 이 과정에서 토론, 역량 시험 및 프레젠테이션 면접을 하루 동안 경험했습니다.

특히 토론 주제가 디지털 변환(DX)과 관련되어 있어 그 내용을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면접 준비 과정에서 30분간 제공된 제시문을 분석하면서, 토론 주제인 "국가 차원에서 중소기업에 DX 도입을 위한 방안"에 대해 깊이 있게 고민할 기회를 가졌습니다. 

제시된 자료에 따르면, 중소기업 중 약 38%만이 DX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아직 도입하지 않고 있고, 약 32%는 이를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는 중소기업들이 디지털 전환을 진행하는 데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DX 도입을 고려하지 않는 기업들을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습니다. 

첫 번째는 바쁜 사업 일정으로 인해 DX 도입에 필요한 시간을 할애하기 어려운 기업들이고, 

두 번째는 DX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는 기업들입니다. 

바쁜 일정으로 인해 교육과 컨설팅에 참여하기 어려운 첫 번째 그룹은 이번 토론의 주요 대상에서 제외하고, 

두 번째 그룹과 DX에 대해 전혀 모르는 기업들을 주요 대상으로 설정했습니다.

이에 국가 차원에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집중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합니다. 

전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광범위한 교육보다는 특히 교육이 필요한 그룹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예산의 제약을 고려할 때 더욱 효과적일 것입니다.

또한, 성공 사례를 공유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패 사례에서 얻는 교훈이 더욱 중요하다고 봅니다. 

이를 통해 DX를 시행하고 있는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대기업이 직접 멘토링과 컨설팅을 통해 사회적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이는 중소기업들이 DX를 보다 효과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이러한 전략적 접근은 단순히 기술 도입을 넘어서 경제 전반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국가 차원에서의 지원과 정책이 중소기업들이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임을 강조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