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준히 성장하기

[D+31] 프로젝트 | 2차 미니 프로젝트 3일차(final) 본문

KT 에이블스쿨 5기/프로젝트

[D+31] 프로젝트 | 2차 미니 프로젝트 3일차(final)

data.dohii 2024. 3. 22. 22:07

2차 미니 프로젝트의 마지막 날이었습니다. 

오늘도 KT 전농교육장에서는 열정 가득한 팀원들과의 오프라인 만남으로 하루를 시작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우리가 직면한 가장 큰 도전 중 하나는 분석해야 할 타겟(Target y)과 특성(Feature x)이 많았다는 것이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우선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히트맵을 사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상관관계를 살펴본 후, 우리는 과학적인 방법으로 접근하기 위해 가설을 수립했습니다.

귀무가설은 A와 B 간에 관계가 없다는 것이며, 대립가설은 A와 B 간에 실제로 관계가 있다는 것입니다.

귀무가설의 한 예로는,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성적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가 있습니다.
대립가설의 예로는,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성적을 향상시킨다"입니다.

 

이러한 구조를 바탕으로, 이변량 분석을 통해 우리 팀의 가설을 검증했습니다.

검증 과정에서는 p-value와 상관계수를 주의 깊게 파악하여, 우리의 가설이 타당한지를 판단했습니다.

 

분석 결과를 통해 어떤 자치구에 정류장을 신설해야 하고, 어떤 자치구에 노선을 추가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주관적인 판단이 요구되는 부분들이 있었고, 이로 인해 의견 조율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저는 프레젠테이션을 담당했습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고 작업을 해야해서, 3일 간의 프로젝트를 정리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부족해, 프레젠테이션의 완성도가 다소 아쉬운 상태로 제출해야 했습니다.

프로젝트가 끝난 후, 아쉬움이 남아 프레젠테이션 작업을 추가적으로 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배운 것들 중 하나는 프레젠테이션의 표지만으로도 사람들의 주목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에서 '스케일링(scaling)'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스케일링은 데이터를 일정한 범위 또는 규모로 조정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는 분석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합니다.


이번 미니 프로젝트는 단순히 데이터 분석 기술을 넘어서, 팀워크, 시간 관리, 그리고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킬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경험들은 제가 DX 컨설턴트로서 나아가는 길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