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준히 성장하기

[D+85] 오답노트 | IT 컨설팅 직무 테스트 대비(1) 본문

KT 에이블스쿨 5기/오답노트

[D+85] 오답노트 | IT 컨설팅 직무 테스트 대비(1)

data.dohii 2024. 5. 15. 16:51

IT 컨설팅 직무 테스트를 준비하면서 다양한 용어와 개념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이해가 부족했던 부분들을 명확히 하고, 시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Q. IT인프라 유형에 대해 서술하시오.

1. 온 프레미스: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을 기업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운영/ 직접 데이터센터를 운영

2. 클라우드

1) 퍼블릭 클라우드: CSP(Cloud Service Provider - 아마존, KT클라우드 등)에게 인프라에 필요한 자원들을 대여하여 사용하는 방식

2) 프라이빗 클라우드: 기업이 직접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 이를 기업내부에서 활용하고 계열사에 공개 또는 정부 전용으로 구축한 G-클라우드

3) 하이브리드 유형: 기존 온프레미스와 퍼블릭 클라우드를 함께 사용/ 각종 규제, 데이터 주권, 보안 등의 우려로 클라우드 도입을 주저하는 기업에 좋은 대안

4) 멀티 클라우드: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클라우드를 사용(CSP)하는 방식/ 멀티 클라우드는 공급자에 Look-in이 되지 않고 위험을 분산할 수 있음, 통합 관리 환경 구축이 어려움, 관리 비용 및 운영 비용 증가

 

Q. 네트워크의 종류에 대해 서술하시오.

PAN(personal): 가장 작은 규모 

LAN(local): 근거리 영역, 예시는 공유기 와이파이

MAN(Metropolitan): 대도시 영역

WAN(Wide): 광대역, 예시는 인터넷

 

Q. 네트워크 구성요소에 대해 서술하시오.

전송 단말기(노드): 정보를 주고 받는 장치

전송 매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수단, 유선 케이블, 무선 기술

전송 프로토콜: 전송 단말기 간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규칙 

네트워크 장비: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목적지를 찾고 길을 결정하는 장비

 

Q. OSI 7계층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1계층 물리계층(Physical Layer): 물리계층은 전기, 물리 신호에 따른 계층이며 단순한 전기적 신호 전달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장비: 리피터는 데이터 통신에서 신호를 증폭시켜 더 멀리 전송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네트워크 장비/ 허브는 여러 대의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치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물리계층의 네트워크 장비 

2계층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Layer): P2P 간 신뢰성있는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계층이고 주소값은 MAC Address(장비번호)를 물리적인 주소를 할당 받습니다.

*대표적인 프로토콜: 이더넷은 LAN(근거리 통신망) 구축을 위해 장치를 연결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네트워킹 프로토콜이며, 각 장치에 고유의 MAC 주소를 사용하여 통신

*대표적인 장비: L2 스위치는 이더넷 프레임의 MAC 주소를 기반으로 스위칭 작업을 수행. 경로 설정 기능은 없지만,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의 전달을 더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연결 기능을 제공

3계층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IP 주소 기반으로 경로를 찾아주는 계층. 라우터를 통해 이동할 경로를 선택하여 IP 주소를 지정하고, 해당 경로에 따라 패킷을 전달 ★

*대표적인 프로토콜: IP는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의 줄임말로, 인터넷상에서 각 장치(컴퓨터, 스마트폰 등)를 식별하는 고유한 번호

*대표적인 장비: 라우터는 다양한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장비

4계층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종단 간(end-to-end) 통신을 담당하며,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전송 주소는 Port입니다. ★

*대표적인 프로토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는 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송됐는지 확인합니다. 데이터의 순서를 보장하고, 손실된 데이터는 재전송을 요청하여 신뢰성 있는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UDP(User Datagram Protocol)는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로, TCP보다 빠르지만, 데이터의 손실과 순서가 보장되지 않습니다. 실시간 비디오나 오디오 스트리밍 같은 곳에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장비: L4 스위치는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계층 정보를 기반으로 트래픽을 관리하고 분배하는 장비입니다. Port 번호를 기준으로 패킷을 분석하고, 최적의 경로로 전송을 지원합니다.

5계층 세션 계층(Session Layer):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관리하며, 세션 간의 데이터 교환을 제어합니다.

*세션이란? 네트워크 통신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일시적인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세션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통신을 설정하고, 유지하고,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6계층 표현 계층(Presentation) 계층: 데이터의 형식과 표현을 변환하며, 암호화 및 압축을 수행합니다. *대표적인 프로토콜: 

SSL네트워크 통신을 암호화하여 보안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입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을 암호화하여 도청 및 데이터 변조를 방지합니다. SSL은 이제 TLS로 대체되었습니다.

TLSSSL의 후속 버전으로, 보안과 성능이 개선된 프로토콜입니다. 데이터 암호화, 무결성 검사, 인증 등을 제공하여 안전한 통신을 보장합니다.

7단계 응용(Application) 계층: 가장 사용자 친화적인 계층으로,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합니다.

*대표적인 프로토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은 웹 서버와 브라우저 사이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은 HTTP의 보안 버전으로, TLS/SSL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합니다.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은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 모니터링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FTP(File Transfer Protocol)은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파일 전송을 지원합니다.

POP3(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은 이메일 클라이언트가 서버로부터 이메일을 받아오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SSH는 주로 네트워크 서비스를 원격으로 안전하게 운영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서버 관리, 원격 시스템 접근, 안전한 파일 전송 등에 사용됩니다.

 

Q. TCP/IP 4계층에 대해 계층별로 설명하세요. 

*TCP/IP 4계층에서 시작한 네트워크 표준이 꾸준히 갱신되면서 하위 레이어가 다시 세분화 되었습니다. TCP/IP 4계층의 1계층 부분을 Data link Layer와 Physical Layer로 나누어져서 TCP/IP 5계층 모델

1계층 네트워크 연결 계층: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들을 물리주소인 MAC 주소로 전송합니다.

2계층 인터넷 계층: 패킷 단위의 데이터들을 논리 주소인 IP 주소로 정확하게 라우팅하여 전송될 수 있도록 합니다.

3계층 전송 계층: 통신 노드 간의 연결 제어 및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합니다. 전송주소 Port이고 TCP, UDP

4계층 응용 계층: 기존의 세션/표현/응용 계층을 합한 계층이고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으로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과 소통할 수 있게 하는 계층입니다.

 

Q. TCP와 UDP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4계층 전송 프로토콜

1) TCP: 연결지향, 신뢰성이 있는 프로토콜입니다. 

연결형 서비스로 3-way handshaking 과정을 통해 연결을 진행하며 4-way handshaking 과정을 통해 연결을 해제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을 보장하지만 속도가 비교적 느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적용사례: 이메일, 파일 전송

*3-Way Handshaking: TCP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세 단계의 핸드쉐이킹 과정 송신-수신-송신-수신 ★

SYN: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연결 요청을 보냅니다.

SYN-ACK: 서버가 요청을 받고 클라이언트에게 확인 응답을 보냅니다.

ACK: 클라이언트가 다시 확인 응답을 보내 연결이 성립됩니다.

*4-Way Handshaking: 연결을 해제할 때는 네 단계의 핸드쉐이킹 과정

FIN: 클라이언트가 연결 종료 요청을 보냅니다.

ACK: 서버가 요청을 받고 확인 응답을 보냅니다.

FIN: 서버가 연결 종료 요청을 보냅니다.

ACK: 클라이언트가 확인 응답을 보내 연결이 종료됩니다.

2) UDP: 비연결성, 신뢰성이 없는 프로토콜입니다. 

비연결형 서비스로 3-way handshaking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수신 여부를 확인하지 않기 때문에 속도가 빠릅니다.

*적용사례: 실시간 스트리밍, 온라인 게임, DNS ★

*DNS(Domain Name System)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입니다. 도메인 이름은 사람이 읽기 쉬운 형태의 주소(예: www.example.com)이고, IP 주소는 컴퓨터가 인식하는 숫자 형태의 주소(예: 192.0.2.1)입니다. 역방향 DNS도 존재합니다. 7계층 응용계층에 해당

3) SCTP: 신뢰성과 순서 보장을 제공하는 동시에 다중 스트림 전송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입니다.

SCTP는 TCP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기능과 UDP의 다중 스트리밍 기능을 결합한 프로토콜이다.

*적용사례: 전화 네트워크, 다중 스트림 전송

 

Q. TCP 헤더와 UDP 헤더를 설명하세요.

TCP 헤더: 복잡하고 다양한 필드를 포함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예: 순서 번호, 확인 응답 번호, 윈도우 크기 등)

UDP 헤더: 간단하고 최소한의 필드로 구성되어 빠르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제공합니다. (예: 출발지 포트, 목적지 포트, 길이, 체크섬)

 

Q. Cast의 종류에 대해 설명하시오.

Unicast: 1:1 통신, 원하는 대상 하나를 정해서 통신

Multicast: 1:N통신, 원하는 대상 여러 명을 정해서 통신

Broadcast: 1:all 통신, 내 의지와 상관없이 무조건 받아들여야 하는 통신

 

Q. 소켓은 무엇인가요?

소켓은 연결을 담당하고, 패킷은 데이터를 나누어 보내는 역할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하는 하나의 접점입니다.소켓은 프로토콜(TCP, UDP), 호스트의 IP 번호와 포트 번호 그리고 목적지의 IP 번호와 포트 번호로 구성됩니다.

 

Q. 패킷이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입니다. 큰 데이터를 작은 패킷으로 나누면 네트워크 대역폭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큰 데이터가 전송 중에 오류가 발생하면 전체 데이터를 다시 전송해야 할 수 있습니다. 작은 패킷으로 나누면 오류가 발생한 패킷만 다시 전송하면 되므로 효율적입니다. 패킷을 작은 단위로 나누는 것은 네트워크 보안성을 강화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만약 당신이 웹사이트를 방문한다면, 브라우저는 서버와 소켓을 통해 연결을 맺습니다. 이 소켓을 통해 브라우저는 서버로부터 웹페이지의 데이터 패킷들을 받습니다. 받은 패킷들을 모아서 브라우저가 웹페이지를 화면에 보여줍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정리 노트를 통해 여러분과 함께 공부하며 성장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IT 컨설팅 관련 핵심 용어들을 공유드리며, 내일도 추가 공부 내용을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함께 열심히 공부해보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