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준히 성장하기

[D+82] 교육 | IT 인프라: 스토리지의 이해 본문

KT 에이블스쿨 5기/교육

[D+82] 교육 | IT 인프라: 스토리지의 이해

data.dohii 2024. 5. 12. 18:38

오늘은 스토리지(Storag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토리지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든 장치를 말하며, 개인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부터 기업에서 사용하는 고가의 대용량, 고성능 스토리지까지 다양합니다.


스토리지란?

스토리지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로, 개인용 PC의 하드디스크나 USB, 그리고 기업용 스토리지가 포함됩니다.

기업에서는 고성능과 대용량을 자랑하는 스토리지를 주로 사용합니다.

 

스토리지 유형

  • Tape: 가장 오래된 저장장치 유형으로, 전송속도는 느리지만 30년 가까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주로 데이터 백업용도로 사용됩니다.
  • HDD (Hard Disk Drive): IBM이 최초로 개발했으며, Tape보다 빠른 전송 속도를 제공합니다.
  • SSD (Solid State Drive): HDD보다 수 배 빠른 전송 속도를 제공하지만, 비용이 더 높습니다.
  • NVMe: 주로 노트북용 SSD로 사용되며, 고성능을 필요로 하는 기업에서도 NVMe 서버에 장착하여 사용합니다.
  • Cloud Storage: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저장하는 방식으로, 언제 어디서나 접근이 가능합니다.

저장장치 종류

  • DAS (Direct Attached Storage): 서버와 저장 장치를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연결 가능한 장치 수에 제한이 있습니다.
  •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저장 장치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여러 서버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확장성과 유연성이 높지만, 접속 트래픽이 증가하면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SAN (Storage Area Network): 일반적인 LAN 대신 광케이블을 사용하여 스토리지를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SAN 스위치를 통해 여러 노드에 할당할 수 있으며, 고성능을 요구하는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스토리지 프로토콜

  • FC (Fibre Channel): 고성능 스토리지를 서버에 연결하는 고속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FC 케이블을 사용합니다. HBA(Host Bus Adapter) 장비가 필요합니다.
  • iSCSI (Internet SCSI):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서도 스토리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HBA 어댑터 또는 소프트웨어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연결할 수 있습니다.
  • FCoE (Fibre Channel over Ethernet): 이더넷과 Fibre 채널 환경을 하나의 케이블과 CNA(Converged Network Adapter)를 통해 구현합니다.
  • NFS (Network File System): NAS 방식에서 주로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NIC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을 활용하여 통신합니다.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습니다.

스토리지는 데이터의 안전한 저장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 스토리지 유형과 프로토콜의 특징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통해 스토리지의 다양한 유형과 그 특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도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들을 하나씩 알아가면서, DX 컨설턴트로서의 역량을 키워나가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