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클라우드형 아키텍처 - SaaS, PaaS, IaaS
오늘의 주제는 바로 SaaS, PaaS, IaaS! 오늘은 이 3가지 용어가 클라우드형 아키텍처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공부해볼거에요.
1. 클라우드 삼총사 SaaS, PaaS, IaaS란?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사실 SaaS, PaaS, IaaS라는 세 가지 형태로 나눠져 있어요.
이건 마치 집을 빌릴 때, 집을 통째로 빌리느냐, 일부만 빌리느냐, 아니면 땅만 빌리느냐의 차이로 이해할 수 있어요.
하나씩 차근차근 살펴볼까요?
1) SaaS (Software as a Service) – 소프트웨어를 서비스로!
SaaS는 우리가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예요.
완성된 소프트웨어를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로 제공받는 거죠.
예를 들어 여러분이 쓰는 구글 드라이브, 넷플릭스, 마이크로소프트 365 같은 것들이 모두 SaaS예요.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거나 설치하지 않아도 인터넷만 연결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죠.
2) PaaS (Platform as a Service) – 개발자들을 위한 플랫폼!
PaaS는 개발자들이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해요.
쉽게 말해,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도록 개발 환경을 클라우드에서 빌려주는 거죠.
여러분이 직접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대신 필요한 도구와 환경을 제공받아서 개발만 하면 돼요.
대표적인 PaaS 서비스로는 구글 애플리케이션 엔진(Google App Engine), 아마존 AWS Elastic Beanstalk 등이 있어요.
개발자들은 이 플랫폼 위에서 앱이나 프로그램을 만들고 테스트할 수 있죠.
3)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인프라까지 빌려 써요!
IaaS는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같은 IT 인프라 자체를 빌려주는 서비스예요.
기업들이 물리적인 서버를 사서 유지 관리할 필요 없이 필요한 만큼의 컴퓨팅 자원을 클라우드에서 빌릴 수 있죠.
대표적인 IaaS 서비스로는 아마존 AWS, 마이크로소프트 Azure,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등이 있어요.
2. SaaS, PaaS, IaaS와 클라우드형 아키텍처의 연결!
이 세 가지 서비스는 모두 클라우드형 아키텍처 위에서 작동해요.
클라우드라는 거대한 땅 위에 집을 지어 사용하는 방식인 거죠.
클라우드형 아키텍처는 전 세계에 퍼져 있는 데이터센터와 서버를 통해 SaaS, PaaS, IaaS가 원활하게 돌아가게 합니다.
1) SaaS: 클라우드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제공받으니 사용자는 설치 없이 언제 어디서나 접속 가능하죠.
2) PaaS: 개발자들은 클라우드 위에서 자신만의 앱을 만들고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을 얻습니다.
3) IaaS: 기업은 클라우드에서 필요한 만큼 서버와 저장소를 빌려 사용하고 물리적인 서버 관리 걱정을 덜 수 있어요.
결국 이 세 가지 서비스 모두 클라우드형 아키텍처의 힘을 빌려 운영되기 때문에 SaaS, PaaS, IaaS는 클라우드형 아키텍처와 아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죠!
SaaS, PaaS, IaaS는 모두 클라우드 서비스를 어떻게 제공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형태예요.
SaaS는 풀옵션 원룸처럼 완성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PaaS는 반쯤 완성된 개발 환경을, IaaS는 그냥 땅만 제공하는 방식이죠.
다음 시간엔 또 어떤 IT 인프라 용어를 공부할지 기대해 주세요😊